DSP(Demand-Side Platform)
광고주 및 에이전시가 애드네트워크나 애드익스체인지와 같은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디지털 광고 지면이나 상품을 더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라인 플랫폼
SSP(Supply-side Platform)
매체입장에서 보유한 광고인벤토리를 쉽게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플랫폼
DMP(Data Management Platform)
다양한 온라인, 오프라인, 모바일 소스에서 제1자, 제2자, 제3자 잠재고객 데이터를 수집하여 고객프로필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기준에 맞춘 패키지화 혹은 카테고리화를 통해 광고서비스 제공 플랫폼(DSP) 및 공급자 플랫폼(SSP)에서 개인화된 광고운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
애드네트워크(Ad Network)
수많은 매체사를 한데 묶어 광고주나 대행사가 한번에 다양한 매체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앙집중식 광고플랫폼 서비스
애드 익스체인지(Ad Exchange)
광고인벤토리를 보유한 수많은 매체/Publisher와 광고를 게재하고자하는 광고주사이에서 서로 접근/비교/거래가 가능하도록 SSP와 DSP, 그리고 애드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터와 같은 역할을 수행
광고주(Advertiser)
광고 캠페인을 주도하고 비용을 부담하는 기관, 기업, 개인 또는 단체
대행사(Agency)
광고 대행사는 클라이언트의 광고 및 홍보 활동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며 실행하는 서비스 기반의 회사
RTB(Real-time Bidding)
실시간 경매로 광고가 이루어지는 것
CPC(Cost-per-Click)
클릭당 과금
CPT(Cost-per-Time)
시간당 과금
CPM(Cost-per-Mille)
노출 횟수 당 과금
CTR(Click-Through Rate)
클릭율
Conversion Rate
구매 전환율
Research Service
광고업종 및 광고주별로 광고가 집행된 내용 즉 광고량 통계를 집계해주는 서비스
Attribution/Report Analytics
광고캠페인이나 소셜미디어, 웹사이트, 모바일앱 등 디지털광고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
디지털광고대행사의 수수료 방식 3가지
1. 커미션방식 (COMMISSION)
- 광고주가 매체에 사용하는 광고비에 일정 비중의 수수료를 포함해 받는 방식
- 전체 광고비에 수수료가 일정비율로 포함되어 있음
- 커미션 방식은 매체로 부터 광고대행사가 받기 때문에 수수료율은 매체마다 다름
- 주로 국내매체 (네이버,카카오, 신문사 등)에서 주로 사용
2. 마크업방식 (MARK-UP)
- 광고주가 매체에 사용하는 광고비와 별도로 일정비율을 추가해서 수수료를 받는 방식
- 전체 광고비에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.
- 수수료율은 광고주와 광고대행사가 별도 협의 하여야 함.
- 주로 커미션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해외매체 (구글, 메타 등) 이용시 광고회사는 광고주와 협의하여 마크업방식으로 함
3. 피방식 (FEE)
- 광고주가 매체에 사용하는 광고비 총액과 상관없이 대행을 위해 수행한 전체 업무량을 계산해 수수료를 받는 방식
- 전체 광고비에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광고비총액과는 상관없이 대행사의 업무량에 따라 수수료 광고주와 협의하여 결정
- 주로 해외광고주들이 선호하는 방식 ( 글로벌로는 주된 수수료 방식)
- 피방식은 광고대행사가 진행한 업무량을 광고주에 보고하고 증빙해야 함.